도시 속 과학읽기

서영진 여행칼럼니스트

북미 ‘AI 산업’의 본거지

캐나다 토론토

토론토는 온타리오 호숫가와 접해 있는 캐나다의 최대 도시다.
80여 개국 문화에 기반을 둔 다채로운 타운이 공존하며,
캐나다 인공지능 산업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인공지능 핵심기술이 출현한 도시

최근 화제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메기 강 감독은 토론토가 ‘제2의 고향’이다. 5세 때 한국에서 토론토로 이주했으며, 토론토 남쪽 ‘쉐리던 컬리지’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고,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케이팝 캐릭터로 세계적 팬덤을 만들어 냈다. 한국계 출신 감독이 글로벌 AI 캐릭터를 잉태한 것은 도시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다민족 도시인 토론토는 캐나다 AI 산업의 본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토론토는 AI의 핵심기술인 ‘딥러닝’이 발현한 도시다. 토론토 대학의 제프리 힌턴 교수는 컴퓨터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인 딥러닝을 처음으로 정립했으며 이미지와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AI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컴퓨터 과학자이자 오픈AI의 공동창립자인 일리야 수츠케버 역시 토론토 대학 출신이다.

도심의 ‘마스 디스커버리’ 구역은 토론토가 북미 최대 첨단 산업의 아지트임을 방증한다. ‘마스’는 옛 토론토 종합병원을 혁신 허브 공간으로 개조한 곳이다. 마스에서는 연구기관, 스타트업, 투자자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AI, 바이오헬스, 클린테크 등 미래 첨단 산업을 양산하고 있다.

토론토 신시청 앞마당에 형성된 네이선 필립스 광장은 여행객들이 기념사진을 남기는 포토 스팟이기도 하다. ⓒUnsplash

다민족 타운과 최초의 자동 개폐 돔구장

토론토는 인구의 절반 가량이 각 나라에서 모인 이민자들로 구성됐다. 이민자들의 작은 타운인 에스닉타운은 토론토가 간직한 특징이다. 80여 개의 에스닉타운은 각각의 문화를 지닌 채 공존한다. 차이나, 코리아타운 외에 포르투갈, 인도, 아일랜드, 폴란드타운 등이 형성돼 있다.

높이 533 m의 CN타워는 토론토 스카이라인의 중심이자 랜드마크다. 투명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올라 유리 바닥 위나 타워 밖 지붕 끝을 걷는 엣지워크에 도전하는 일은 흥미롭다. CN타워 건너편은 세계 최초 자동 개폐식 지붕을 지닌 돔구장인 로저스센터다.

로저스 센터의 모습 ⓒUnsplash

다운타운 북쪽으로 발길을 옮기면 세련된 외관의 온타리오 미술관(AGO, Art Gallery of Ontario)이 모습을 드러낸다. AGO는 캐나다 3대 미술관 중 한 곳으로 피카소, 로댕, 모딜리아니, 앤디 워홀 등 거장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작고 소박하면서도 개성이 묻어나는 디자인 관련 가게들이 궁금하다면 답은 퀸 스트리트 웨스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무의 곡선이 근사한 온타리오 미술관 내부 ⓒUnsplash

중세 가옥과 지하 골목, 거리를 오가는 트램

토론토의 향수는 세인트 로렌스 마켓, 카사 로마 등에서 강렬하다. 세인트 로렌스 마켓은 200년 넘게 토론토 주민들의 식탁을 책임진 곳으로 ‘토론토의 부엌’이라고도 불린다. 미드타운의 카사 로마는 나이아가라 수력발전으로 대부호가 된 헨리 펠라트 경이 지은 중세 유럽풍 저택으로 98개의 방과 내부 터널, 거대한 정원이 인상적이다. 시내를 오가는 붉은 색 트램은 도시의 템포를 더욱 더디게 조율한다.

토론토의 지하는 상점가를 연결하는 ‘PATH’로 불리는 워크웨이가 미로처럼 펼쳐진다. ‘PATH’는 60년대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돼 도심의 중심 지역을 11 km 이상 연결해 굳이 밖으로 나오지 않고도 먹고 쇼핑하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도시의 남쪽으로 향하면 온타리오 호수다. 에밀리 세인트존 멘델의 과학 소설인 ‘스테이션 일레븐’에는 토론토가 배경으로 나온다. 소설은 바이러스 창궐 이후 소멸한 문명과 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셰익스피어 유랑극단의 내용이 담겨 있다. 호수와 접한 워터프런트와 토론토 아일랜드는 소설 속에도 등장한다. 현실 속의 온타리오 호수는 빌딩 숲 너머 도시인의 살가운 휴식을 잔잔하게 담아낸다.

(왼쪽) 중세 유럽으로 회귀한 기분이 드는 카사 로마의 외관 ⓒShutterstock
(오른쪽) 5 세인트 로렌스 마켓의 외관

더 볼만한 기사

세상 속 과학읽기

노화, 우울, 불안
알고 보니 개인 아닌 사회 문제였네

영화 속 과학읽기

나는 상실의 기술을 배우고 있습니다
<스틸 앨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