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045건 페이지 9/105
-
'AI로 원전 손상 진단' 경진대회 열린다 -원자력(연), '제1회 진동데이터를 활용한 충돌체 탐지 경진대회 개최'-□ 최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원전 안전을 강화하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동안 원전을 운영하면서 축적한 데이터와 시뮬레이터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AI에 학습시킬 경우, 실제 기기를 만지지 않아도 원전 손상을 진단하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원전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기업 데이콘(DACON·대표 김국진)과 함께&lsquo... - 작성일
- 2020.05.28
- 조회수
- 2,788
-
원자력(연), KAERI 안전문화 서포터즈 출범 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가운데>)은 5월 13일 ‘2020년 KAERI 안전문화 서포터즈’ 발대식을 개최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했다.서포터즈는 다양한 연구개발 현장을 직접 발로 뛰며,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원자력 기술을 알릴 계획이다.이번에 선발된 6명의 서포터즈는 발대식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약 6개월 간 활동할 예정이다. 서포터즈는 연구개발 현장을 직접 발로 뛰며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원자력을 알릴 계획이다.사진 2... - 작성일
- 2020.05.13
- 조회수
- 2,855
-
“창의력과 상상력을 자유롭게” 원자력硏,‘KAERI 꿈꾸는 연구실’운영 - 대전, 세종 중·고교 대상 총 10개 팀 모집, 5.6~5.31 참가 접수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소속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KAERI 꿈꾸는 연구실」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KAERI 꿈꾸는 연구실」은 청소년들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자유롭게 발휘해 원자력 이슈와 사회문제에 관한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의 원자력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시행한다. □ 참가팀은 소정의 활동비를 지원받아 약 6개월(6월~11월... - 작성일
- 2020.05.06
- 조회수
- 2,852
-
겹꽃 모양 나노입자로 세슘 제거 새로운 길 활짝 - 세계 최초, 텅 빈 겹꽃 모양 티타늄-페로시아나이드 나노입자 개발 성공 -- 바닷물, 강산성 조건에서도 세슘 99% 이상 제거 -□ 국내 연구진이 겹꽃 모양 나노구조의 새로운 세슘 흡착제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와 효율로, 물 속 방사성 세슘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양희만 박사팀이 속은 비어있으면서 표면적이 큰 ‘세슘 제거용 꽃모양 티타늄-페로시아나이드 나노흡착제(Hf-TiFC, Hollow flower-li... - 작성일
- 2020.04.28
- 조회수
- 4,015
-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슬러지 최소화 기술 개발 성공 - 슬러지 억제하는 pH 조절제와 pH 값 최적 조합, 원리 규명 -□ 물과 금속을 함께 사용할 때 슬러지, 즉 ‘녹’은 가장 큰 위협요소다. 냉각수 속에 금속 전열관이 들어있는 원전도 마찬가지다. 전열관 표면에 붙는 슬러지를 획기적으로 줄여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수화학(水化學)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슬러지 부착 모사 실증장치를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국내 최초로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슬러지 부... - 작성일
- 2020.04.20
- 조회수
- 3,623
-
원자의 움직임을 가장 빠르고 밝게 포착하는 ‘전자카메라’ 개발 - 원자력연,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초고속 전자회절장치 개발 성공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이 세계에서 원자의 운동을 가장 잘 포착하는 전자카메라를 개발했다고 4월 9일 밝혔다. 이 장치는 기존보다 원자의 운동을 3배 이상 빠르면서 100배 이상 밝게 관측할 수 있어서 향후 물성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이번 성과는 광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4월호에 게재됐다. 특히, 세계적인 석학인 미국 UCLA의 무스메치(Pietro M... - 작성일
- 2020.04.13
- 조회수
- 3,689
-
원자력(연), 현대엔지니어링과 ‘원자력 활용 친환경 수소생산 분야’등 업무협약 체결 - 연구용 원자로 기술개발, 고온가스로 기술 개발 등 분야에서 협력 추진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과 현대엔지니어링(주)(대표이사 김창학)은 4월 8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원자력 활용 친환경 수소생산 분야’ 등 포괄적 상호 협력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사진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현대엔지니어링(주)과 상호협력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원석 원장(왼쪽), 현대엔지니어링(주) 김창학 대표이사(오른쪽)□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한 기술 협력... - 작성일
- 2020.04.09
- 조회수
- 3,617
-
원자력(연), 차세대 액정 '블루페이즈' 상전이 비밀 규명 -'산란' 기술 활용, 블루페이즈 액정에서 마르텐사이트 상전이 현상 발견-□ ‘블루 페이즈(blue phase)’액정은 초고속으로 응답을 하는 특성을 지니며, 상용화된 네마틱(Nematic) 액정보다 공정이 단순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액정 재료로 주목받는다. 블루페이즈는 온도를 변화시키면 순간적으로 상(phase)이 변하는데(상전이) 이 현상의 원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국제 공동연구팀이 블루페이즈 액정의 상전이 현상의 비밀을 규명해 화제가 되... - 작성일
- 2020.04.02
- 조회수
- 3,314
-
人 事 < 부원장 >정지영 부원장< 단장 >이완로 안전관리단장 < 부장 >남지희 품질경영부장 / 이정일 방사선안전관리부장 / 이관엽 원자력환경방재부장 / 황인아 안전방호부장< 실·팀장 >김근호 해체복원사업실장 / 임종명 원자력환경실장 / 김현기 원자력방재실장 / 김인철 원자력통제실장 / 박승환 연구실안전팀장 / 장수권 물리적방호팀장 / 이강우 시설팀장 - 작성일
- 2020.03.31
- 조회수
- 3,157
-
[해명자료] 20여년 공들인 스마트원전 개발 '급제동' 기사 -3월 25일 한국경제 A6면“20년 공들인 차세대 소형원전 ‘급제동’... 脫원전에 올 예산 고작 35억”기사와 관련하여한국원자력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기사내용 ㅇ 차세대 소형원전(SMART) 개발에 2,000억원이 필요하나, 탈원전 때문에 올 예산은 고작 35억원에 불과함. ㅇ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이달 초 중점 추진전략에서도 SMART 관련 내용 삭제함.□ 해명내용 ㅇ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정부 차세대 소형원전 개발에 필요한 예산으로 2,000억... - 작성일
- 2020.03.25
- 조회수
- 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