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428건 페이지 6/143
-
원자력硏,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데이터 수집 열시험 장치 개발 - 열시험 장치 생산 데이터로 실제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열 평가 --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안전관리·효율적 설계에 기여 -□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보관은 전 세계 원전 사용 국가의 숙제다. 국내에서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을 준비 중인데, 핵연료 모니터링이 핵심인 시설 내부는 방사성 물질이 있어 실제 온도 측정이 어렵다. 그래서 보수적으로 온도를 추정해 왔지만, 국내 연구진이 해결법을 찾아 주목받고 있다.사진 1. 연구진이 사용후핵연료 건식 캐니스터 열시험 장치에서 도출한 ... - 작성일
- 2024.11.28
- 조회수
- 1,342
-
동위원소 소재 전문기업 ㈜큐토프, 대규모 투자 유치로 사업확장 본격화 -원자력연 출신 정도영 대표, 레이저 기반 동위원소 분리 기술로 2021년 창업--올해 시리즈A 투자 50억 유치 성공, 동위원소 소재 R&D 및 양산 체제 구축에 활용-□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원 창업기업인 ㈜큐토프(대표 정도영)가 올해 총 50억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ㅇ ㈜큐토프는 연구원 양자광학연구부에서 개발한 ‘레이저 기반 동위원소 분리 기술’을 이전받아 방사성의약품 핵심 소재인 산소-18 농축수 등을 공급하고 있는 동위원소 소재 전문기업이다. ㅇ 2... - 작성일
- 2024.11.28
- 조회수
- 1,753
-
국내 최초 방사성의약품 QbD 적용, 제조 공정 최적화 성공 - 원자력연, 최적 공정 설계로 소아암 치료제 생산량 증대, 생산 시간 획기적 감축 -□ 미국과 유럽에서는 의약품 제조 시 QbD(Quality by Design, 설계 기반 품질고도화)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방사성의약품에 QbD 기법을 적용하고 제조 공정 최적화에 성공해 화제다.QbD: 의약품의 품질을 미리 계획하고 설계해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기법이다. 이는 GMP(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보다 발전된 개념으로 의약품 개발 초기부터 제품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 - 작성일
- 2024.11.13
- 조회수
- 1,657
-
원자력연, 전자선 이용 하·폐수처리기술 국제워크숍 개최 - 동남아시아 3개국과 공동 개최, 아·태지역 전자선 기술 수출 및 확대 목표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과 협력해 ‘전자선 활용 하·폐수 처리 국제공동연구 워크숍(International Joint Research Workshop o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using E-beam Technology)’을 연구원 대전 본원 등에서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ㅇ 이날 워크숍에... - 작성일
- 2024.11.11
- 조회수
- 1,152
-
한국원자력연구원, 공정채용 공공부문 우수기관 선정 - 2024년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상’ 수상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24년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에서 공직유관단체 분야 최고 상인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등이 공동주최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한 이번 어워즈에서는 채용 과정에서 공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한 우수기관을 선정하고 시상식을 진행했다.사진. 지난 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4년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에... - 작성일
- 2024.11.04
- 조회수
- 1,541
-
원자력연, 2024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실시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2024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사진1.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난대책본부에서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발생 시 연구현장 중심의 대응 능력을 제고하고 전 직원의 안전관리 의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0월 29일에는 재난 주의, 경계 단계 시 필요한 훈련을 실시했고, 30일부터는 심각 단계에 따른 비상소집훈련을 시작으로 지진, 화재 등 재난 발생 대응조치 훈련이... - 작성일
- 2024.10.31
- 조회수
- 1,356
-
유방암 진단 지르코늄-89, 아세안국가 첫 수출 - 한국원자력연구원, 태국원자력연구소에 ‘지르코늄-89(Zr-89)’공급 개시 -- 지르코늄-89 생산 시스템 고도화로 아시아 시장 확대 전망 -□ 우리나라에서 자체 생산한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가 처음으로 아세안국가 수출길에 올랐다. 지르코늄-89는 체내 약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영상용 방사성동위원소로, 반감기가 길어 의약품, 나노 바이오소재 등의 장기간 이동을 추적하는데 뛰어나다. 주로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 - 작성일
- 2024.10.30
- 조회수
- 11,929
-
원자력연, 방사선환경 방호기술 국제 워크숍 개최 - 방사선환경 방호 기술수출 기반 조성을 위해 태국과 싱가포르 전문가 대상 기술 소개 -□ 최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방사선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는 방호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이 국가들에 우리나라가 가진 우수한 기술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그 중심에서 활약하고 있다. 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2~23일 태국에서 방사선환경 방호기술 국제워크숍을 개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태국과 싱가포르의 방사선환경 방호 ... - 작성일
- 2024.10.25
- 조회수
- 1,875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국내 최초 ‘분기점’ 달성 - 한국원자력연구원, 실질적인 전력 생산 가능한 신개념 발전 시스템 개발 -□ 발전 시스템에서 분기점(Break-even Point) 달성은 실질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해진 것을 의미한다. 차세대 고효율 발전 시스템으로 주목받는 ‘초임계 이산화탄소(CO2) 발전 시스템’* 또한 미국, 중국과 같은 선진국들이 분기점 달성을 위한 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이런 와중에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시스템으로 전력 생산 분기점에 도달해 화제다.초임계 CO2 발전: 액체와 기체의 성질을 동시... - 작성일
- 2024.10.23
- 조회수
- 3,331
-
고효율 삼중수소 분리용 수전해 신소재 개발 -원자력연, 그래핀 박막을 추가한 수전해 복합 신소재로 삼중수소 분리 성능 대폭 향상--삼중수소 폐액에서 수소(H2) 분리해 삼중수소 농축 가능, 폐액 감용으로 관리 비용 절감-□ 삼중수소(Tritium, 3H, T)는 수소의 동위원소(동일 원자번호, 다른 질량수)이자 원자력 발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이다. 특히, 발전소 해체 및 부지복원을 위한 제염 시 발생하는 폐액에 삼중수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 방사성 폐액은 처리, 관리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 용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 작성일
- 2024.10.22
- 조회수
- 4,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