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032건 페이지 5/104
-
방사성으로 오염된 건축물을 ‘물처럼 뿌리고 씻어’ 제염하는 신기술 개발 - 원자력연, 하이드로겔 기반 표면제염코팅제 개발 성공 -- 기존 대비 2배 뛰어난 제염효과, 물로 쉽게 분리하여 방사성폐기물량 1/2로 절감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양희만 박사가 방사성으로 오염된 표면에 액체 분사 방법으로 세슘*을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hydrogel)** 기반의 표면제염 코팅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세슘: 원자력 사고 시 누출되는 대표적 방사성 물질로 장기간 방사능 오염(세슘-137, 반감기 30년)을 일으키기 때문에 ... - 작성일
- 2020.09.17
- 조회수
- 1,038
-
원자력연, 집중호우 피해복구 성금 1,300만원 전달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갑작스런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돕기 위해 성금 1,300만원을 모아 전국재해구호협회에 전달했다고 4일 밝혔다. ㅇ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모인 이번 성금은 지난달 집중호우로 삶의 터전과 생계 수단을 잃은 수재민들의 피해복구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 연구원은 올봄 진행했던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성금 모금을 포함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한 다양한 후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ㅇ 사보 <원우>를 통해 매월 대전지역 청소년들을 지원해, 2019년 초록우산 ... - 작성일
- 2020.09.04
- 조회수
- 917
-
원자력연, 원전 도입 준비하는 가나에 기술 지원 시작 - 가나원자력위원회에 원전 안전성 평가 소프트웨어 무상 지원 --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다수기 원전 리스크 평가 기술 인정 -□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이집트, 가나 등 아프리카 10개국은 원전 건설을 적극 검토하거나 이미 추진 중이다. 그 중 가나는 IAEA의 원전 도입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원자력 관련 기관을 잇달아 설립하는 등 원전 도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세계 원전 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국가다. 이런 가운데 원전 업계에 앞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가나와 원자력 협력을 시작했다는 소식... - 작성일
- 2020.08.31
- 조회수
- 1,115
-
인사(人事) - 2020년 9월 1일자 -<팀장>△ 권희정 첨단방사선연구소(정읍) 기획관리팀장△ 오주현 첨단방사선연구소(정읍) 대외협력팀장△ 전은주 연구기획팀장 - 작성일
- 2020.08.31
- 조회수
- 1,100
-
비대면 원자력 체험 활동, '신청대란' 겪으며 인기몰이 - 원자력연‘여름방학 KAERI 탐구생활’, 10월까지 연장 운영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학생과 청소년이 즐길만한 과학 행사가 축소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무료로 제공한 비대면 과학 체험 활동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어 화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비대면 체험 활동 ‘여름방학 KAERI 탐구생활’을 8월 한 달 동안 운영했다. ㅇ 연구원은 신청자에게 원자력 체험꾸러미(SMA... - 작성일
- 2020.08.27
- 조회수
- 2,501
-
원자력연, 2020년 중성자 여름학교 온라인 개최 - 8월 25일~9월 1일 일주일간, 중성자 산란 분야 전문인 육성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중성자 연구 저변과 중성자 산란장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2020년 중성자 여름학교’를 8월 25일부터 9월 1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중성자 여름학교는 원자 단위의 결정 구조 분석 내용으로 구성된‘중성자 회절 학교’와 나노미터 영역 구조 분석 교육을 위한 ‘냉중성자 학교’로 나누어 진행한다.□ 중성자 회절장치는 특정 물질에... - 작성일
- 2020.08.26
- 조회수
- 1,138
-
KAERI-ETRI 융합연구팀, 세계최초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 개발 성공 - 획기적 증폭기술과 인공지능 활용으로 누출진단 정확도 99% - - 휴대폰 배터리 3개 전력으로 36개월 사용가능한 초저전력 자랑 -□ 생활용, 산업용으로 액체나 기체를 사용하려면 파이프 즉 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냉장고 냉매 배관에서 반도체 공장의 가스 배관, 발전소의 압력 배관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 곳곳에서 쓰이는 배관의 핵심은 누출없이 안전하게 물질을 전달하는 것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융합연구 끝에 배관에서 누출이 발생하는 즉시 감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성공했다.□ ... - 작성일
- 2020.08.20
- 조회수
- 1,360
-
원자력연, 방사화학 여름학교 온라인 개최 □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을 위한 화학연구 등을 학생들이 쉽게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방사화학 전문가를 양성하고 방사화학 연구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센터장 윤종일)와 함께 ‘제4회 방사화학 여름학교’를 14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ㅇ 원자력연구원은 화학, 원자력 전공 학생들이 방사성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방사화학의 개요를 실제 연구현장의 전문가들로부터 배우고 주요 실험을 체... - 작성일
- 2020.08.13
- 조회수
- 1,424
-
원자력, 네가 왜 거기서 나와? -원자력연, 국제 영상 스토리 이해 AI 경진대회 준우승--AI 기술 활용한 원자로 데이터분석으로 원전 이상·결함 탐지 연구-□ 올 연초 국내의 한 그래픽 AI 전문기업이 이세돌 9단에게 AI가 그린 초상화를 선물해 화제가 됐다. ‘창작’이라는 고유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인간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도 AI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ㅇ 이미 2016년 4월 AI가 렘브란트가 남긴 346개 작품을 학습하고 150기가바이트에 달하는 그래픽 데이터... - 작성일
- 2020.08.12
- 조회수
- 1,446
-
차세대 나노소재와 원자력 기술 접목해 신기술 개발 나선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 창업기업 내일테크놀로지와 ‘질화붕소나노튜브 기반 원자력 및 방사선 응용기술 개발 MOU’체결-□ 질화붕소나노튜브(BNNT: Boron Nitride Nanotube)는 열전도율, 탄성, 강도, 열/화학 안정성 등이 뛰어나, 현재 반도체, 자동차 산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CNT)보다 4차산업 분야에서 활용성이 더욱 높은 핵심 나노소재로 손꼽힌다. 인체에도 무해하기 때문에 IT/IoT, 에너지뿐 아니라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 작성일
- 2020.08.05
- 조회수
- 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