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431건 페이지 8/144
-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으로 대응하는 지진·화재 재난 - 2024년 레디 코리아 원전 현장 훈련서 방재로봇으로 참가 -□ 지진, 화재 등 재난에 대한 대응을 로봇에 맡기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방재로봇(ARMstrong, RAPID, TRAM)이 원자력 시설 재난훈련에 투입된 바 있다.사진 1.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레디코리아 훈련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원자력 로봇을 투입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개발한 방재로봇(Hamster)과 함께 레디 코리아(Ready Korea) 원전 현장... - 작성일
- 2024.09.25
- 조회수
- 2,568
-
나노소재 반도체 방사선發 고장 원인 규명 -원자력연-재료연 공동연구팀, 감마선으로 인한 나노소재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변화 확인--국제학술지 나노머티리얼즈 표지논문 선정, 우주용 내방사선 반도체 개발에 활용 기대-□ 인공위성, 우주선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극한의 환경을 견뎌야 한다. 특히 양성자나 감마선과 같은 우주방사선은 반도체 고장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이에 방사선을 잘 견디고 성능이 우수한 나노소재를 활용해 내방사선 반도체를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나노소재 반도체에 대한 감마선의 영향과 그 원리를 밝... - 작성일
- 2024.09.25
- 조회수
- 3,506
-
한국원자력연구원, 아시아 유일 IAEA 국제연구용원자로센터(ICERR) 재지정 - 연구용 원자로 기술의 국제적 우수성 인정 받아 아시아 유일 IAEA 센터 운영 - - 전 세계의 연구용 원자로 운영·활용 역량 강화에 기여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보유한 국내 유일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HANARO)’와 부대시설의 우수성이 또 한 번 세계로부터 인정을 받았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이 IAEA ICERR 재지정 기념 현판을 전달받고 있다.(왼쪽부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라파엘 그로시(Rafael Mariano Grossi) IAEA... - 작성일
- 2024.09.19
- 조회수
- 1,787
-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의약품 지원센터 개소 - 국내 방사성의약품 산업 발전과 안정적 공급을 위한 핵심 인프라 구축 -- 방사성의약품의 GMP 제조 및 품질관리 역량 강화로 국민 건강 증진 -□ 방사성의약품 산업의 안정적 발전과 품질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국내 최초의 방사성의약품 통합 전문 지원센터가 설립됐다.사진 1. 지난 12일 한국원자력연구원 본원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의약품 지원센터’ 개소식이 열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소아암 치료에 사용되는 캐리엠아이비지(I-131 mIBG)주사액과 같은 국가 필수 방사성... - 작성일
- 2024.09.12
- 조회수
- 1,865
-
친환경 고효율 우라늄 추출 신기술 개발 -원자력연, 침전반응을 통한 90% 이상 고순도 우라늄 추출 기술 특허 출원--공정 단순화로 높은 현장 활용성, 방사성폐기물 감소로 높은 환경적․경제적 가치-□ 원자력발전의 원료인 우라늄은 광석에서 추출하는 단계부터 활용 후 폐기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물질에 녹아 존재한다. 따라서 이 우라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회수하는 것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폐기물을 줄이는 친환경적 기술이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고순도 우라늄 추출 신기술 개발에 성공해 관심을 끈다.사진 1. 우라늄 용액... - 작성일
- 2024.09.10
- 조회수
- 4,582
-
증기 발전 대체할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성능 시험 성공 - 한국원자력연구원, 초임계 CO2 발전 기술로 100 kWe 전력 생산 성공 -□ 물을 끓여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증기 발전 시스템'은 대표적인 발전(發電) 시스템이다. 증기 발전 시스템보다 더 높은 열효율을 얻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높은 열효율과 경제성을 지닌 발전 시스템 개발에 성공해 화제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을 개발해 100kWe 전력 생산에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차세대 고효율 발전 시스템으로 평가... - 작성일
- 2024.09.04
- 조회수
- 5,024
-
난치성 소아암 치료제 운반용 ‘초저온 운송용기’ 개발 -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표지의약품 ‘캐리엠아이비지(131I)주사액’ 전용 초저온 운송용기 3대륙 운송 성공 -- 6일 동안 -60℃ 환경 구현, 기존 대비 유효기간 2배 늘려 -□ 국내 연구진이 초저온에서 안정한 상태를 갖는 특성으로 장거리 운반에 제약이 따랐던 방사성 표지의약품 운송용기를 개발해 국내에 안정적 보관은 물론 해외 수출길도 열어 화제다. ㅇ 방사성 표지의약품이란 신경모세포종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보통 방사성동위원소와 체내 전달물... - 작성일
- 2024.09.03
- 조회수
- 4,291
-
빔이 빛나는 밤에, 경주 양성자가속기 24시간 운영 -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양성자가속기 24시간 운영체제 도입 -- 급증하는 이용자 수요 대응, 밤낮 없이 이용 시간 3배(8→24시간) 확대 -□ 자동차, 항공기, 인공위성 등에 널리 사용되는 반도체는 우주방사선을 맞으면 소프트웨어 오류를 일으킨다. 이에 기업은 반도체 수출 전에 방사선을 견딜 수 있는지 시험하는 내방사선 시험을 반드시 거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에는 시험 시설이 한정적이라 무작정 기다릴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높은 수요를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작성일
- 2024.08.29
- 조회수
- 2,074
-
친환경 압전소재 상용화 성큼, 온도 불안정성 한계 극복 기술 개발 -원자력연, 세계 최고 온도 안정성을 갖춘 비납계(Pb-free) 압전복합소재 개발-- 원자력발전 등 각종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압전 부품·소자 응용 기대 -□ 압전소재는 압력이 가해질 때 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로 센서나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압전소재로 ‘납 티탄산 지르코늄(Pb(Zr,Ti)O3)’을 활용했으나, 납이 인체와 환경에 유해해 세계적으로 금지되는 추세다. 이에 납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비납계(Pb-free) 압전소재 연구... - 작성일
- 2024.08.28
- 조회수
- 1,844
-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연구개발 현장체험 교육 실시 - 말레이시아, 요르단 등 7개 개발도상국 대상 원자력 현장체험교육 실시 - □ 중·소형 원자로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에게 연구원의 선진 연구개발 시설을 개방한다.사진1.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에 방문한 7개국 현장 체험 교육생 단체 사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는 리비아, 말레이시아, 잠비아, 우간다, 요르단, 르완다, 나이지리아 공무원을 대상으로 ‘원자력 연구개발 현장체험 교육’을 26일 시작했다고 27일... - 작성일
- 2024.08.28
- 조회수
- 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