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영역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HOME 한국원자력연구원 대표 홈페이지>소통마당>보도자료

보도자료

10 한·미 차세대 원자력 기술 공동연구 본격 착수
작성일
2025.04.28
조회수
116

- SFR 선진 모델링/시뮬레이션  검증 핵심기술 개발 공동연구 추진 -

 - 차세대 원자력 기술 시장 선도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력 강화 기회 -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미래 원자력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미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듐냉각고속로(SFR) 선진 모델링·시뮬레이션 및 검증 분야 핵심기술개발’ 공동연구 사업을 24일 새롭게 착수했다고 27일 밝혔다.

 ㅇ 소듐냉각고속로(SFR)는 물이 아닌 액체 소듐(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 노형으로높은 열효율을 가지고 안정성도 높다고 평가되어 차세대 원자로의 대표 주자 중 하나로 꼽히는 원자로이다.


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미국 ANL과 함께 SFR 공동연구에 착수했다.


□ 이번 공동연구는 원자력연구원과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아르곤국립연구소(ANL)가 공동 수행하며상호 기술 강점을 활용할 목적으로 추진됐다.

 ㅇ 연구원은 SFR 원자로 내부의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검증할 수 있는 실험 인프라(STELLA)를 보유하고 있어 상세한 열유동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 STELLA – 소듐 열유동 종합효과 시험시설로, SFR의 사고 상황을 모의하고 안전성을 입증하는 시험시설

 ㅇ 반면미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선진 모델링·시뮬레이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상세한 SFR 열유동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으로 이러한 양 국의 강점을 결합해 상호 보완적인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사진 2. 한국원자력연구원은 STELLA로 확보한 SFR 내부의 열유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과 공동연구에 착수했다.


□ 이에 지난 24일 양 기관 간 화상 착수회의를 통해 향후 연구 계획 등을 논의하고신규 공동연구를 본격적으로 착수하기에 이르렀다.

 ㅇ 3년간 진행할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원 내 STELLA에서 확보한 원자로 내부 거동 데이터를 상호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SFR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선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구축할 예정이다.

 ㅇ 이를 통해 SFR 기술 완성에 필수적인 다물리 다차원 해석 기초자료와 핵심 데이터를 확보하고 SFR 개발 지원과 인허가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 검증자료를 생산해낼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원 조진영 선진원자로연구소장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서 SFR 기반 SMR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앞으로도 미국의 원자력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SMR 분야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파일

이전 다음 목록

담당부서
미디어소통팀
담당자
이현정
연락처
042-868-2062

최종수정일2023.02.01

만족도평가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