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ERI 뉴스

KAERI

주요 뉴스

5월 KAERI 우수성과

기타 공공기관 중
3년 연속 안전관리 최고 등급 획득

우수성과 선정 내용 요약
  • · 주요 성과 내용
    - ‘2022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에서 42개 기타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3년 연속 안전관리 최고 등급 획득
    - 주관부처 :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우수성 및 차별성
    - 3년 연속 안전관리 2등급 유지·달성 (42개 기타 공공기관 중 연구원이 유일함)
    ※ 1등급은 “이상적인 수준”의 안전능력을 의미, 현재 해당 기준에 도달한 기관은 없음
    - ‌IoT 기반 첨단 화재 감지시스템 구축, 연구원의 지속적인 안전 능력 입증
q
2023년 5월 KAERI
우수성과로 선정된 소감은?

박승환 책임연구원


안전등급제는 기관의 안전관리 체계를 전반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안전 전담 부서의 노력만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우리 연구원 구성원 개개인의 안전에 대한 실천과 노력, 그리고 관련 부서의 협조가 있었기에 가능한 성과이다. 이 자리를 통해 협조해 주신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q
이번 연구성과에 관해
간략히 소개하자면?

어혜준 선임기술원


안전등급제는 기재부가 주관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매년 100여 개의 공공기관의 안전 체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우리 연구원은 제도가 시작된 2020년도부터 40여 개 기타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3년 연속 2등급을 획득했다.
이러한 성과 덕분에 여러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현대제철과 같은 대기업에서도 벤치마킹을 다녀갔으며, 기재부 안전혁신 우수사례집(21년), 노동부 안전보건관리체계 우수사례집(22년)에 실려 공공기관 안전관리에 모범이 되고 있다.
q
앞으로의 계획 및
하고픈 말이 있다면?

어혜준 선임기술원


국가 차원의 안전에 관한 관심과 기준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등급제 평가 기준 또한 매년 관계 법령의 내용과 트렌드를 반영하여 변경된다. 앞으로도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 안전체계 마련과 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

연구원, 항우연과 우주 원자력 전력
및 추진 기술 개발 MOU 체결

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은 5월 2일 우주 원자력 전력 및 추진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원자력을 활용한 국내 우주 탐사 기술 역량을 강화한다. 우주용 방사성동위원소 발전시스템, 핵분열 발전시스템, 원자력 열 추진 시스템, 원자력 전기 추진 시스템, 원자력을 이용하는 각종 우주 시스템 등의 기술 개발에 협력한다.

연구원은 현재 항우연과 함께 화성 탐사를 위한 원자력 추진 우주선 개념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핵분열 발전시스템(원자로)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작년에는 ‘누리호’ 2차 발사에 탑재해 지구궤도에 투입한 성능검증위성에서 동위원소전지의 우주 실증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우주 헤리티지’(우주 환경에서 검증한 이력)를 확보했다.
앞으로는 2032년 달 탐사선 탑재를 목표로 다양한 규격의 동위원소전지를 개발하는 한편, 심우주 탐사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계획이다.

고준위폐기물 심층처분장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국내외 원자력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연구원은 처분장 성능평가 모델 개발 및 검증을 위한 국제 워크숍(DECOVALEX)1)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부산에서 진행했다.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의 옌스 버크홀처 DECOVALEX 좌장이 발표하고 있다.

DECOVALEX는 미국과 스웨덴 등을 중심으로 1992년부터 개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연구원은 2008년부터 참가하여 현재는 수치해석 분야 리딩그룹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국제 워크숍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 13개국 120여 명의 고준위폐기물 처분분야 수치해석 전문가들이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참여했다. 각국 전문가들은 자국의 방사성폐기물 처분현황 소개와 함께 심층처분시스템 내 기체유동 및 균열생성 특성평가와 더불어 다양한 열-수리-역학-화학적2) 복합거동 현장 실험을 수치 해석적으로 평가한 결과와 검증 사례를 발표했다.

1) DECOVALEX
DEvelopment of COupled models and their
VALidation against EXperiments

2) 열-수리-역학-화학적
Thermo-Hydro-Mechanical-Chemical (TH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