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52건 페이지 1/6
-
K-배롱나무 세계 꽃시장 두드린다 - 원자력연, 우리씨드에 배롱나무 신품종 기술이전 -- 네덜란드 시험재배 통과시 로열티받고 해외 수출 -□ 백일홍처럼 오래 꽃을 피워 백일홍나무라고도 불리는 배롱나무가 방사선육종기술로 새로 태어났다. 원자력연구원이 만든 배롱나무가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 본격적으로 보급될 전망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배롱나무 품종 ‘루비비비드’, ‘루비인텐스’, ‘로시스위티’, ‘로시러블리’, ‘체리다즐... - 작성일
- 2020.12.23
- 조회수
- 299
-
냄새 잡는 전자선, 악취 해결사로 나선다 - 원자력연, 저에너지 전자가속기 활용 악취제거 융합시스템 개발 -- 신개념 설계로 기존 기술 한계 극복하고 본격 상용화 추진 - □ 우리나라에서 한 해에 악취와 관련한 민원은 2만 건에 육박할 정도로, 악취는 사람에게 불쾌감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삶의 질을 저해하는 대표 요인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2016년 상시가뭄, 싱크홀, 녹조, 미세먼지와 함께 악취를 국가환경분야 5대 난제로 지정하고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O 산업분야에서도 2005년 악취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악취 배출 규제가 점차 강... - 작성일
- 2020.12.17
- 조회수
- 412
-
원자력연 제5호 연구소기업 출범 - ‘㈜라비’에 조직수복용 재료물질 및 제조 기술 출자 -- 출연연 기술출자에 과학기술지주 현금투자 연계한 성공모델 구축 -□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 출자에 민간자금 투자를 연계한 연구소기업이 스타트업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2006년 원자력연구원이 기술 출자한 국내 제1호 연구소기업 콜마비앤에이치㈜의 성공을 시작으로 연구소기업 출범이 줄을 잇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주식회사 라비(대표 김동호)에 ‘조직수복용 조성물 및 재료 제조 방법’ ... - 작성일
- 2020.12.04
- 조회수
- 549
-
산업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해결하는 신기술, 기술이전 실시 - 원자력연, 한수엔텍에 간헐폭기 침출수 정화기술 이전 -- 90% 정화 성능, 기존 대비 약 2배 뛰어나 -□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폐기물 뿐 아니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도 심각한 문제이다. 침출수를 제대로 정화하지 않으면 환경오염 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주거 환경도 저해할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기술대비 약 2배 효율이 좋은 정화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나선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첨단방사선연구소(소장 위명환)는 ‘간헐폭기 공법을 이용한 미생물 침출수 정화기술&... - 작성일
- 2020.11.24
- 조회수
- 596
-
국가 방사선 반응지도 모델링 플랫폼, 데이터 품질 최고등급 획득 당신이 찾는 방사선 기술, 빅데이터로 찾아드립니다- 원자력연 국가 방사선 반응지도 모델링 플랫폼, 데이터 품질 최고등급 획득 -□ 방사선 기술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시대가 왔다. 방사선 융합기술을 연구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는 이들에게 지도가 되어줄 빅데이터 플랫폼이 국내 최초로 신뢰성을 인증받고 문을 연 것이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첨단방사선연구소(소장 위명환)가 구축한 ‘국가 방사선 반응지도 모델링 플랫폼’이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으로부터 데이터 품질 최고 등급... - 작성일
- 2020.10.27
- 조회수
- 659
-
국내 최초 ‘전자선 그라프트 기술’ 활용 고성능 흡착제 제조 길 열려 -원자력(연), ‘전자선 그라프트 기술 기반 금속염 흡착제 제조 기술’㈜앱스필에 이전-□ ‘그라프트(graft)’는 ‘접목하다’라는 의미로, 기능이 없는 고분자화합물에 일종의 기능성 가지를 달아주어 다른 고분자화합물을 접목함으로써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이 중 에너지 밀도가 높아 화학결합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자선을 활용한 그라프트 기술은 일본,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 섬유의 기능성 가공기술에 사용되고 있다... - 작성일
- 2020.07.09
- 조회수
- 1,339
-
방사성의약품 공급으로 국민 건강 지키는 원자력연구원 - 차세대 암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7 국내 최초 생산성공 -- 하나로, 사이클로트론서 핵심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9종 직접 생산공급 -방사선은 두렵고 낯설다. 하지만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선으로 암이나 희귀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아픈 이들에게는 소중한 빛과 같다. 베타선을 방출해 암 세포를 죽이는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7(이하 Cu-67)도 드디어 국내 생산을 시작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입자 가속기인 RFT-30 사이클로트론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Cu-67을 생산하... - 작성일
- 2020.03.04
- 조회수
- 2,538
-
원자력(연), 미생물로 방사선 신시장 나선다 - 한국원자력연구원-동아쏘시오홀딩스, 바이오산업 기술개발 MOU 체결 -- 세계 생명공학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원천소재 개발 기대 -□ 우리 정부가 방사선 기술을 혁신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11월‘미래 방사선 산업창출 전략’을 확정한 가운데,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기업체와 손을 잡고 방사선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산업 기술개발에 본격 나선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한종현)와‘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산업소재 및 활용기술 개... - 작성일
- 2020.01.17
- 조회수
- 2,692
-
강시용 한국육종학회장 취임 ㅇ 한국육종학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강시용 박사가 제 33대 한국육종학회 회장에 취임했다고 1월 2일 밝혔다. 강시용 신임 학회장은 앞으로 1년 동안 학회를 이끌어가게 된다.ㅇ 강시용 박사는 충남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에서 농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농촌진흥청 및 제주대학교 연구원 등을 거쳐, 2003년부터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연구에 전념해 왔다. 그간 연구원내에서는 방사선식품육종연구부장, 방사선육종연구실장을 역임하였으며, 농식품부 지원의 방사선육종... - 작성일
- 2020.01.06
- 조회수
- 2,565
-
원자력(연), 의료·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2종 국산화 성공 - 국내 최초 저마늄-68 및 스칸듐-44 생산 기술 개발, 의료기관에 공급 예정-□ 암 진단 등에 효과적임에도 국내 생산이 불가능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오거나 국내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던 의료·산업용 동위원소 2종을 국내에서 양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RFT-30 *사이클로트론 인프라를 이용해 국내 최초로 의료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 저마늄-68(Ge-68)과 스칸듐-44(Sc-44)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 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박정훈&mid... - 작성일
- 2019.10.25
- 조회수
- 3,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