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의 원자력 국제 행사인 「2018 한국원자력연차대회」가 한국원자력산업회의(회장 정재훈) 주최로 4월 25일부터 26일까지 성황리에 개최됐다.
제3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대회에는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정재훈 회장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진규 차관, 산업통상자원부 정종영 원전산업정책과장, 김기영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세계원자력협회 서지 골린(Serge Gorlin) 본부장, 체코국제상공회의소 미할 메이스트릭(Michal Mejstrick) 의장, 영국원자력산업협회 톰 그레이트릭스(Tom Greatrex) 이사장, 웨스팅하우스 랜디 감(Landy Galm) 아시아지역부사장 등 국내외 원자력 전문가 7백여명이 참가했다.
정재훈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원전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원전 수출국의 대열에 올라섰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율성 높은 원전을 운영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연차대회가 대내외 환경 변화에 맞서 원자력계가 어떻게 대응하고 역량을 키워나갈지 지혜를 모으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축사에서 과기정통부 이진규 차관은 “원자력 R&D가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고, 혁신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원자력계가 종합적인 기술 역량, 혁신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하고, 특히 “한-사우디 SMART 협력을 바탕으로 소형 원전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차대회는 ‘변화의 시대, 내일을 준비하는 원자력(A Time of Change, Nuclear Energy for Tomorrow)’을 주제로, 새로운 에너지 정책 아래 원자력계가 짚고 넘어가야할 사안과 함께 미래세대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했다. 패널 토론 세션, 기조강연, 특별세션으로 구성된 연차대회는 전세계 에너지 정책 변화에 대한 관심을 증명하듯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세계원자력협회(WNA) 등에서 참석한 전문가들로 들썩였다. 패널 토론 세션은 △원자력 안전과 신뢰 △원자력산업의 세계화 △원전해체 폐기물 관리로 각각 진행됐다. 특히 원전해체 폐기물 관리 세션은 가장 많은 참석자가 몰려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해체폐기물 안전성 확보 사례와 자체처분 대상 폐기물 지정과 같은 이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있었다.
연차대회 이틀째인 26일 열린 특별세션에서는 8인의 국내 전문가들이 대회 주제인 ‘변화의 시대, 내일을 준비하는 원자력’에 대해 열띤 자유 토론을 벌였다.
한국원자력연차대회는 국내외 원자력산업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원자력 분야 현안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국제 행사로서, 고리 1호기 상업운전 개시일(‘78. 4. 29)을 기념하여 1986년부터 매년 4월에 개최하고 있다.